맨위로가기

정순옹주 (중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순옹주는 조선 중종과 숙원 이씨의 장녀로, 1517년에 태어났다. 1526년에 정순옹주로 봉해졌으며, 남곤의 외손인 송인과 혼인하여 아들 한 명을 두었다. 남편 송인의 비행과 관련된 사건과 옹주의 이모가 관련된 사건 등이 있었으며, 1581년에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율곡 이이가 묘지명을 작성했으며, 2017년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18년 출생 - 틴토레토
    틴토레토는 16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베네치아 화가로, 미켈란젤로의 소묘와 티치아노의 색채를 결합하여 극적이고 역동적인 화풍을 창조했으며, <성 마르코의 기적> 등 대규모 작품을 통해 명성을 얻고 엘 그레코 등 후대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518년 출생 - 이시진
    이시진은 명나라 시대의 의학자이자 본초학자로, 방대한 의약학 서적인 《본초강목》을 저술하여 동아시아 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중국 고대 4대 명의 중 한 명으로 꼽힌다.
  • 1581년 사망 - 박충원
    박충원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에 급제 후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이조판서 등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밀원군에 봉해졌고 사후 문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581년 사망 - 덕양군
    조선 중종의 서자이자 숙의 이씨 소생인 덕양군은 9세에 덕양군으로 봉해진 후 종부시 도제조 등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사후 선조의 애도로 국가 주관 장례를 치르고 정희라는 시호를 받았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정순옹주 (중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옹주
이정환 (이jeonghwan)
출생정덕 12년 12월 6일 (1517년 12월 18일)
사망만력 9년 8월 25일 (1581년 9월 22일)
가계
아버지중종
어머니숙원 이씨
배우자송인
자녀송유의

2. 생애

1517년(중종 12년) 12월 6일, 중종과 숙원 이씨의 장녀로 태어났다. 이름은 '''정환'''(貞環)이다.[1] 정순옹주가 3세 때 어머니가 사망하였다.[1]

1526년(중종 21년), '''정순옹주'''(貞順翁主)의 봉호를 받았으며 이후 남곤의 외손이며 송지한(宋之翰)의 아들인 여성위(礪城尉) 송인(宋寅)과 혼인하였다.[1] 시아버지인 남편과의 사이에서 아들 한 명을 낳았다.[1]

1529년(중종 24년), 정순옹주의 남편인 여성위 송인이 외조모의 빈소가 마련된 곳에서 음악을 연주하고 밀과를 마시는 등 잔치를 벌였다 하여 대간에서 송인의 아버지인 송지한을 추문하였다.[2]

이후에도 여성위 송인은 부정적인 방법으로 재물을 늘리거나 축첩하는 등의 행동으로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의혜공주의 남편인 청원위 한경록과 함께 수차례 처벌할 것을 청하였으나 왕이 허물을 감싸주었다.[3]

한편 정순옹주의 이모인 상궁 은대(銀代)가 송인과 간통한 여종 2명을 때려 죽이고, 송인의 또다른 첩과 첩이 낳은 아이를 밟아 죽인 사건도 발생하였다. 때로는 상궁이었던 자신의 고모가 남편의 첩과 서자를 살해하는 일도 있었다.[4][1]

1580년(선조 13년) 정순옹주의 본가에 불이 나 전소하자 선조는 이를 다시 지어주라 명하였다.[5]

1581년(선조 14년) 8월 25일 병으로 사망하였다. 10월 29일 양주에 예장하였다. 9월 22일 향년 65세로 병사했다.

2. 1. 출생과 혼인

1517년(중종 12년) 12월 6일, 중종과 숙원 이씨의 장녀로 태어났다. 이름은 '''정환'''(貞環)이다.[1] 정순옹주가 3세 때 어머니가 사망하였다.[1]

1526년(중종 21년), '''정순옹주'''(貞順翁主)의 봉호를 받았으며 이후 남곤의 외손이며 송지한(宋之翰)의 아들인 여성위(礪城尉) 송인(宋寅)과 혼인하였다.[1]

1529년(중종 24년), 정순옹주의 남편인 여성위 송인이 외조모의 빈소가 마련된 곳에서 음악을 연주하고 밀과를 마시는 등 잔치를 벌였다 하여 대간에서 송인의 아버지인 송지한을 추문하였다.[2]

이후에도 여성위 송인은 부정적인 방법으로 재물을 늘리거나 축첩하는 등의 행동으로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의혜공주의 남편인 청원위 한경록과 함께 수차례 처벌할 것을 청하였으나 왕이 허물을 감싸주었다.[3]

한편 정순옹주의 이모인 상궁 은대(銀代)가 송인과 간통한 여종 2명을 때려 죽이고, 송인의 또다른 첩과 첩이 낳은 아이를 밟아 죽인 사건도 발생하였다.[4]

2. 2. 남편 송인의 비행과 논란

1529년(중종 24년), 정순옹주의 남편인 여성위 송인이 외조모의 빈소가 마련된 곳에서 음악을 연주하고 밀과를 마시는 등 잔치를 벌였다 하여 대간에서 송인의 아버지인 송지한을 추문하였다.[2]

이후에도 여성위 송인은 부정적인 방법으로 재물을 늘리거나 축첩하는 등의 행동으로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의혜공주의 남편인 청원위 한경록과 함께 수차례 처벌할 것을 청하였으나 왕이 허물을 감싸주었다.[3]

한편 정순옹주의 이모인 상궁 은대(銀代)가 송인과 간통한 여종 2명을 때려 죽이고, 송인의 또다른 첩과 첩이 낳은 아이를 밟아 죽인 사건도 발생하였다.[4]

2. 3. 사망

1581년(선조 14년) 8월 25일 병으로 사망하였다. 10월 29일 양주에 예장하였다. 9월 22일 향년 65세로 병사했다.

3. 묘지명

율곡 이이가 정순옹주의 비문을 작성하였다.

정순옹주 묘지명



4. 가족 관계


  • 부왕 : 중종 (1488 ~ 1544)
  • 생모 : 숙원 이씨 (? ~ 1520)
  • 여동생 : 효정옹주 (1520 ~ 1544)
  • 시부 : 송지한(宋之翰, 1493 ~ 1563)
  • 시모 : 남곤의 차녀 의령 남씨(1492 ~ ?)
  • 남편 :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 1517 ~ 1584)
  • 아들 : 송유의(宋惟毅, 1536 ~ 1591)
  • 며느리 : 정대년(鄭大年)의 딸 동래 정씨
  • 손자 : 송기(宋圻, 1553 ~ ?)
  • 손자 : 송해(宋垓, 1560 ~ ?)

5. 정순옹주가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실록 중종실록 103권, 중종 39년(1544년 명 가정(嘉靖) 23년) 6월 4일 (신미)
[2] 실록 중종실록 66권, 중종 24년(1529년 명 가정(嘉靖) 8년) 12월 22일 (갑신) 여성위의 일은 그의 아비 송지한으로 하여금 대신 추문받게 하다
[3] 실록 중종실록 97권, 중종 36년(1541년 명 가정(嘉靖) 20년) 12월 17일 (무진) 왕자나 부마의 죄에 대해 벌할 것을 간원이 상소하다
[4] 실록 중종실록 103권, 중종 39년(1544년 명 가정(嘉靖) 23년) 6월 4일 (신미)
[5] 실록 선조실록 14권, 선조 13년(1580년 명 만력(萬曆) 8년) 8월 2일 (기해) 공조가 정순옹주의 집이 불타자 다시 지어주는 일로 의논을 청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